본문으로 바로가기

보건소 에이즈 검사 - HIV 검사방법 무료

category 카테고리 없음 2017. 10. 12. 14:48
반응형

요즘 에이즈 여중생으로 시끌시끌한데요, 조건만남 에서 옮기고 다시 조건만남을 했다는이야기를 들으면 조건만남 하신분들은 겁나실것 같네요.

보건소에서 무료로 에이즈검사를 해준다고 하니 관련해서 정보를 가져와 봤습니다.




※ 주의할점 

 HIV에 감염된 후 12주 이전에는 항체가 검출되지 않아 검사 상 음성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HIV 감염이 의심되는 행위를 했다면, 12주 후에 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보건소 HIV신속 검사는


서울시가 최초로 도입한 검사방법으로 피 한방울의 혈액으로 20분내에 검사결과를 알 수 있는 검사법이라고 합니다.

2015년 3월 2일 이후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건소에 방문하기 전에 보건소로 미리 연락을 주면 보다 편리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서울시 보건소 연락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보건소 HIV검사는 기존 검사법(EIA법)과 신속검사 모두 운영중에 있다고 합니다.

둘중에 한가지를 선택해서 진행하면 된다고 합니다.


❶ 보건소 1층 에이즈 익명검사 안내문을 보고 검사장소를 확인합니다.

❷ 별도 접수 없이 검사장소를 찾아가 ‘신속검사’를 받기 위해 왔다고 말합니다.

❸ 결과확인 시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숫자나 가명을 접수증에 기입합니다.

❹ 접수번호와 임상병리실(검사실) 전화번호가 기재된 접수증을 받은 후 신속검사를 받습니다.


❺ 검사 후 안내 소책자와 설문지, 펜을 받은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수거함에 넣습니다.

❻ 안내 소책자를 읽으며 보건소 인근에서 20분간 기다립니다.

➐ 검사 20분 후 임상병리실(검사실)로 전화하시거나 방문하셔서 결과를 확인 합니다.

   - 방문 시 접수증을 보여주시면 검사 결과를 안내해 드립니다.

   - 전화로 확인하시는 경우 접수하신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숫자나 가명을 말씀해 주세요.






정밀검사(확진검사) 결과가 양성인 경우 어떻게 하나요?

 

만약 확진결과가 양성이라면 접수증의 에이즈 담당자 연락처로 전화하셔서 상담과 지원 안내를 받으세요.

HIV 감염이 확진된 경우는 반드시 감염내과 전문의가 있는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감염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에이즈 진료비 전액을 정부가 지원합니다.





FAQ 전문입니다.


‣ 기존 에이즈 검사와 신속검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기존 검사는 혈액을 5~10cc 채혈 후 3~7일이 지나야 정밀검사 필요 여부를 알 수 있지만, 신속검사는 20분 만에 정밀검사 필요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존 에이즈 검사가 신속검사보다 정확한가요?

기존 에이즈 선별검사와 신속검사 결과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 신속검사 결과 확인 시 왜 검사키트를 보여주지 않나요?

현재 신속검사 결과는 20분 판독시간을 엄수한 후 수검자께 안내 드리고 있습니다. 판독시간 20분을 엄격하게 지 키는 이유는 판독시간 이후에는 결과가 나타나는 창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자칫 수검자가 판독 시 간을 많이 지나쳐서 방문하신 경우 판독 결과와 키트 상 결과에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결과를 판독한 검사키 트는 바로 폐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신속검사 결과와 확진 결과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HIV 1차 선별검사는 민감도가 매우 높은 검사로 민감도가 높다는 것은 HIV 항체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의 물질을 놓치지 않고 잘 검출하는 예민한 검사법이라는 뜻입니다.

이에 HIV에 감염이 되지 않았어도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양성이라하며 원인은 결핵, 자가면역질환 등 여러가지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1차 선별검사에서 이상반응이 있다면 반드시 정밀검사(확진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 감염이 의심되는 일이 있은 지 12주 후에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HIV 감염 초기에는 검사 상 정상으로 나오는 기간이 있으며, 이 기간을 윈도피리어드(Window period)라고 합니다. 윈도피리어드는 수 주 정도이며, 최근 검사법은 방법에 따라 6일 정도 기간에 차이가 있습니다. 윈도피리어드가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이 의심되는 일이 있은 지 12주 후에 검사를 받으시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감염이 확진된 경우 비밀이 유지되나요?

검사 절차가 익명으로 진행 되므로 본인 이외에는 누구도 감염사실을 알 수 없습니다.

 

‣ 익명검사는 전국 보건소에서 가능합니다.

다만, 익명 신속검사는 서울시 소재 25개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거주 지역에 상관없이 누구나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보건소에서 어떤 지원을 제공하나요?

생활 지원 및 건강관리를 위한 상담을 제공하며 HIV 감염이 확진된 경우 희망하시면 진료비를 전액 지원합니다.

 

‣ 신속진단검사 관련 정보는 어디서 얻나요?

- 각 보건소(감염병관리부서)에 문의하시면 안내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서울시 감염병관리사업지원단 홈페이지(http://infectionseoul.or.kr) ‘HIV/AIDS 자료실’



에이즈는 정복된 만성질환입니다.

숨기고 비관하지마시고, 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받으신 후 치료비를 지원받으세요




관련하여 리플렛 첨부합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4eb311fe3aea8.64178205.pdf



자료 출처 : http://health.seoul.go.kr/archives/29549

반응형

흐르는강물
블로그 이미지 흐르는강물 님의 블로그
VISITOR 오늘 /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