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오늘부터 사립유치원들이 집단 휴업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고생하시는 유치원 선생님들, 그리고 운영이 힘든 사립유치원장님들의 심정도 말이 아닐것 같습니다.


지난 보수정권이 집권하는 동안 출산 장려정책중의 일환으로 어린이집, 사립유치원들이 우후죽순 생겨났습니다.

정부에서 보조금을 많이 지원해줘서 아무래도 그전보다는 어린이집, 유치원을 개원하는게 수월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사실 애초에 나라에서 국립초등학교 처럼 유치원을 지었다면 이런일은 없지 않았을까 합니다.

하지만 이미 지어놓은 상태에서 이런식의 정책은 막대한 투자를 유치원 원장님들도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닐것 같네요.


사실 이번 나라에서 추진하는 국공립 유치원을 더 짖는다는 정책은 유치원 원장님들을 제외하면 다 좋은 정책입니다.

학부모들도 국가에서 운영하는 유치원에 아이를 맡길 수 있고. (이건 잘 운영이 되었을때 이야기 입니다.)

유치원 교사들은 보다 안정적으로 국가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집에서 더 좋은 근무 환경에서 일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한국 유치원 총 연합회에서 주장하는것은




사실 저는 조금 공감이 가지 않습니다.

일각에서는 워킹맘들은 전혀 배려하지 않는 아이를 볼모로 한 좋지 않은 시선으로 많이 보고 있습니다.

지금보다 많은 돈을 나라에서 지원받고, 더 좋은 환경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싶으신건 이해할 수 있지만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첫 단추가 잘못 끼워져 있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어디서 부터 잘못된것인지 제거 얼마전에 본 동영상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한화증권 전 대표를 맡으셨던 주진형 씨가 하신 이야기 인데요. 화법이 좀 시원시원하셔서 거부감이 가실수도있는데 저는 좋더라구요.ㅎㅎ


사실 아이를 낳았을때 유치원에 맡기든, 엄마가 전업주부를 해서 아이를 키우던 그것은 엄마의 권한으로 나두고 국가에서 보조금을 아이(아이부모)한테 모두 주는것입니다.

그러면 엄마는 그 돈을 가지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낼것인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구지 보내지 않으면 그 돈으로 아이에게 다른걸 해줄 수 있습니다.

그돈을 왜 유치원에 보조금으로 지급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유치원에서는 집에서는 해 줄수없는 다른 것을 돈을 받고 하면 됩니다. 

일을 해야하는 워킹맘을 위한 더 좋은 서비스를 개발하면 되고요. 워킹맘은 나라에서 주는돈 + 자신이 버는돈 으로 더 좋은 환경의 유치원을 찾으면 되는거구요.

일각에서는 부모들이 어린아이들을 이용해서 돈을 타먹을수도 있다고 하는데, 주진형씨가 말하기를 그건 아이를 나라가 엄마보다 더 걱정해 주는것이다.




사립이든, 공립이든 유치원이 좋고 평가가 좋다면 자본주의 원리로 더 많은 돈을 주고 다니게 할 수 있지않습니까?

저렇게 나라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을 모아서 부모에게 준다면 아마도 근본적인 원인인 출산율은 올라갈 것 입니다.

그리고 선진국들은 이미 그렇게 실행해서 우리나라보다 높은 출산율을 내고 있습니다.


까놓고 말해서 아이 한명당 나라에서 월100만원씩 지급해준다면 출산율이 올라갈까요? 내려갈까요?

저렇게 어린이집 보조금 무슨 보조금 씨잘데기 없는 엽산주고 이런거 다 때려치고 그돈을 모아서 부모에게 직접 준다고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사견이지만 머랄까 이번 집단 휴업사태는 유치원 원장님들 입장에서는 어느정도 공감이 되지만 그게 해결책은 아닌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진형 씨가 말씀하신 영상을 공유하겠습니다. 각자 판단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손혜원 의원과 주진형씨가 대담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주진형의 경제 알바]

동영상이 좀 긴데요, 출산 부분은 30분부터 보시면 나옵니다.

아이키우는 입장에서 격하게 공감이 됩니다.



이상으로 사립유치원 집단 휴업사태에 관련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흐르는강물
블로그 이미지 흐르는강물 님의 블로그
VISITOR 오늘 / 전체